Overview
지속가능성장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의 투자/재원 조달(Green Financing),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환경경영전략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약 13년간 경영컨설팅, 기업가치평가,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의 사업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론과 현장 지식을 접목한 '녹색사업 재무타당성 평가', '녹색회계' '기후관련 재무정보 공시' 등의 교과를 개발하여 가르치고 있다.
Biography
학력
- 2018. 02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 박사
2002. 08 KAIST 경영대학, MBA 석사
1996. 02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 학사
주요경력
-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 초빙교수 2020.11 ~ 현재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 대우교수 2018~2020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과 지속가능금융센터, 연구원 2018 ~2019
한국기업평가㈜, 사업가치평가본부, 팀장/수석연구원 2002 ~ 2012
Price Waterhouse Coopers(PWC)삼일회계법인, 컨설턴트 1997~ 1999
Publications & Research
주요논문 (특허등)
- 유소영, & 한인구. (2016). 사물인터넷의 사회적 영향: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한 일자리 영향 전망.Information Systems Review,18(4), 173-187. doi:10.14329/isr.2016.18.4.173
Yoo, S., Eom, J., & Han, I. (2020). Factors Driving Consumer Involvement in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Efficient Purchasing Behavior: Evidence from Korean Residential Buildings. Sustainability, 12(14), 5573. doi:10.3390/su12145573
Yoo, S., Eom, J., & Han, I. (2020). Too Costly to Disregard: The Cost Competitiveness of Environmental Operating Practices. Sustainability, 12(15), 5971. doi:10.3390/su12155971
유소영 (2021). 기업의 환경 기후변화 정보공시와 활용 e-book. 카이스트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 (ISBN 978-89-89453-34-5)
연구분야
- Green Financing
Climate-related Risk Assessment
Green Accounting and ESG Disclosures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Teaching
기후관련 재무정보 공개(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BGM642)
- ① 산업 및 기업체의 기후 관련 리스크 요인은 무엇이고 구체적인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접근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② 금융기관의 Carbon emission (Financed emission)에 대한 최신 기준을 살펴보며, 기회 요인과 관련하여 기후변화 혁신 기술 동향 및 기업 사례 등 솔루션을 고민한다.
녹색사업 재무타당성 평가(GG820A)
- (1) 사업 타당성분석의 목적과 구성 요소,평가 접근방법을 이해하고, (2)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녹색사업의 핵심 평가요인을 이해하며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관련 마인드 및 기초지식을 육성한다. 또한 (3) 전문가 초청 특강과 재무타당성 시뮬레이션 활용을 통해 실무 적용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Green Accounting(GG531)
- 기업의 경제적 성과 뿐 아니라 사회,환경적 성과(영향)를 측정하고 공시하는 통합적 회계보고(Integrated Reporting)의 관점에서,
주요 개념적 틀과 GRI (Environment 300), 기후변화재무공시(TCFD) 등 대표적 기준을 살펴본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기업의 실제 적용 사례와 적용 문제, 녹색회계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함께 논의한다.
Green IT(BGM511)
- 정보통신시스템은(ICT) 기업 활동의 필수 인프라이며, 지속가능경영에서도 IT 의 활용은 미션 성공의 전략적 무기로서 비즈니스모델에 결합되어야 한다.
학습 목표는 경영정보시스템의 핵심 개념 기반 위에 다양한 Green IT 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Greening of and by IT 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학생들이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Greening of IT Systems (Pattinson, 2015)은 데이터센타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문제와 같이 ICT 섹터의 환경 영향을 고민하고, Greening by IT는 보다 포괄적으로, ICT를 환경성과를 개선하는 데 활용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