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30101 TMBA TMBA #tm_1th_2 > li:nth-child(3) > ul > li.toy_0 > a 02030101 TMBA T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1 > ul > li:nth-child(1) > a 02030201 IMBA IMBA #tm_1th_2 > li:nth-child(3) > ul > li.toy_1 > a 02030201 IMBA I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1 > ul > li:nth-child(2) > a 02030301 EMBA EMBA #tm_1th_2 > li:nth-child(3) > ul > li.toy_2 > a 02030301 EMBA E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1 > ul > li:nth-child(4) > a 02030401 PMBA PMBA #tm_1th_2 > li:nth-child(3) > ul > li.last.toy_3 > a 02030401 PMBA P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1 > ul > li:nth-child(3) > a 02040101 FMBA FMBA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toy_0 > a 02040101 FMBA F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1) > a 02040201 MFE MFE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toy_1 > a 02040201 MFE MFE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3) > a 02040401 IMMBA IMMBA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toy_2 > a 02040401 IMMBA IM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2) > a 02040501 IMMS IMMS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toy_3 > a 02040501 IMMS IMMS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4) > a 02040601 SEMBA SEMBA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toy_4 > a 02040601 SEMBA SEMBA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6) > a 02040701 GP GP #tm_1th_2 > li:nth-child(4) > ul > li.last.toy_5 > a 02040701 GP GP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7) > a 02040701 admission admission #txt > div.sub0303.mt_20 > div.btn_wrap > a 02040701 GP GP #mprovide > div > div > div.box.box3 > ul > li:nth-child(7) > a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SS (Environment, Social, Start-up)

이해관계자 중심의 자본주의 또는 장기 주주 중심의 자본주의에 입각한 경영교육의 기본인 ESG 관련 이슈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영교육에 반영하고자 KAIST경영대학에서는 최근 Environment, Social, Startup 세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 연구, 산학협력, 창업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사회적 책임

내부적으로는 K SUS 활동 등 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환경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식을 심고 외부적으로는 서울시 녹색 기후포럼 등 행사를 기획하여 사회 에 지속적으로 이슈 를 던지는 환경 분야의 이슈메이커를 자처합니다.

사회적기업 스타트업

숨케어(soomcare / 만성호흡기진환 환자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숨케어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입니다. 숨케어는 국내 유일한 천식관리 앱으로 사용자의 증상, 복약데이터를 기반으로 천식 치료 지침에 맞는 관리법을 제공합니다. 2019년 4월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지난해 4월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여 사용자수는 1만3000명을 돌파했으며 현재까지 모아진 개인건강기록은 5만건에 이릅니다. 2020년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활용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와이닷츠(WhyDots /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ICT 치매예방 프로그램)

와이닷츠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겪는 치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임상연구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소셜벤처기업입니다. 와이닷츠는 노인들의 치매 예방과 재활을 돕는 인지 향상 AI 로봇 ‘피오’를 개발하여 노인들의 눈높이에 맞게 간단한 대화를 하거나 동작을 유도하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전국 치매안심센터, 요양원, 데이케이센터 등 다양한 공간에 피오를 납품하여 관리자들이 언어나 음악, 운동, 미술 등의 프로그램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 네이버의 기업형 액셀러레이터 ‘D2스타트업팩토리(D2SF)’와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DHP)’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프로젝트퀘스천(PROJECT Question / 저널리즘 펀딩 플랫폼)

프로젝트퀘스천은 시민(게이트키퍼)과 저널리스트가 함께 세상을 바꾸는 좋은 질문을 찾는 저널리즘 플랫폼이자 소셜벤처입니다. 저널리즘 플랫폼과 OTT를 운영하며 관점 있는 저널리스트와 저널리즘 프로젝트의 펀딩, 팀빌딩, 커뮤니케이션과 기획, 제작, 홍보, 판로 개척 등을 지원합니다. 프로젝트퀘스천은 사회 문제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 저널리스트가 자신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2020년 3월 정식 서비스를 런칭하고 다양한 사전 펀딩 형태인 ‘저널 프로젝트’와 사후 펀딩 형태인 ‘저널리스트 후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스타트업

누비랩(NUVI lab / AI 푸드스캔 기술 통한 스마트키친솔루션)

누비랩은 음식 산업에서 세상에 없었던 데이터를 기록하고 만드는 일을 합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음식이 소비되고 버려지는 모든 과정을 데이터화해 개인 식습관에 대한 솔루션 제시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AI 푸드 스캐너를 활용해 급식소나 레스토랑에서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는 솔루션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누비랩은 환경부 장관상(환경 창업대전 대상), 고용노동부 장관상(소셜벤처 최우수상), 국방전산정보원장상을 수상했으며,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톱3에 선정되었고, 2021년 1월에는 '세계 가전 전시회(CES) 2021 서울관'에서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몽세누 (MONTSENU/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새로운 기준)

㈜몽세누는 환경문제와 패션산업의.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소재, 디자인, 생산, 브랜딩 전반에 걸쳐서 자체적인 솔루션을 적용한 패션브랜드 MONTSENU를 개발, 운영하며 지속가능한 제품이 필요한 기업과 단체에 디자인 컨설팅과 생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버려지는 페트병을 재생한 리사이클 폴리, 유기농 원단, 재고원단, 공정거래원단 등의 친환경 원단을 사용하며, 몽세누만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타일과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시장을 두드리고 있으며, 2030년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지속가능한 패션/라이프스타일 브랜드 10개를 개발/운영하는 컴퍼니 빌더로의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이라이프 (식물성 식품 중심의 푸드테크 기술 기반 지속가능 식품 개발 회사)

㈜에이라이프는 발효균을 담은 전통 발효 식품, 아이들을 위한 도라지청, 아쿠아파바를 이용한 식물성 베이커리 등 안전하고 건강한 지속가능한 식품을 제조, 판매하며 생산지와 직거래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사업을 꿈꿉니다. IoT 스마트 계란 트레이, RFID 로컬푸드 직배송 시스템 등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합니다.
벤처기업, 이노비즈, ISO 9001, ISO 14001, FSSC 22000, 가족친화인증, 농공상융합형 중소기업 등 다양한 인증을 통해 식품안전 및 품질 책임 관리를 철저하게 지켜 나가고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이소현 연락처 : 02-958-3081

KCB